삼성은 개발중인 독자 OS인 타이젠에 안드로이드 앱을 사용할 수 있는 호환 솔루션을 도입합니다.
앱 생태계가 아직 조성되지 않아 활용도가 낮은 타이젠 OS 탑재 스마트폰의 단점을 조기에 극복하겠다는 삼성의 전략입니다.
하지만 타이젠이 거대한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사실상 종속될 수 밖에 없어 또 다른 안드로이드 OS 버전으로 전락할 공산이 커졌습니다.
삼성이 한계에 부딪힌 독자 앱 생태계 전략을 당분간 포기하는 대신에 타이젠을 활용한 저가 모바일 기기 시장을 공략하는 등 하드웨어 다변화 전략으로 선회했다는 분석입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은 최근 타이젠 폰의 출시를 앞두고 안드로이드 OS 연동용 솔루션 업체를 선정했습니다. 국내와 미극 두 업체가 경합해 한국 업체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국내외 소프트웨어 업체 역시 타이젠 OS에서 안드로이드 전용앱을 실행 시킬 수 있는 가상머신 솔루션을 속속 출시하고 있습니다.
OS가 다르면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로 표현한 문서가 다르듯이 각 OS에 특화된 컨텐츠만 그 플랫폼 위에서 돌아갑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JAVA에, 윈도우에는 C언어에 기반을 두고 OS를 구성하고 개발자 역시 JAVA, C언어 등 특정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이 각 OS에 맞는 앱을 개발하게 됩니다. OS가 다르지만 동일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려면 번역기와 마찬가지로 OS간의 호환을 도와주는 가상머신이 필요합니다.
삼성이 올해 출시할 타이젠 스마트폰의 앱 활용을 위해 안드로이드와 호환되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OS 자체는 타이젠이지만 그 위에 솔루션 하나를 더 얹고 안드로이드 전용 앱이 안드로이드 OS 위에서 구동되는 것처럼 만든 것 입니다. AP와 메모리 사용량이 소폭 증가하지만 동일한 앱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드로이드의 장점과 타이젠 플랫폼을 모두 활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탈 안드로이드를 꾀하는 삼성에게는 부메랑으로 작용할 것으로 지적되었습니다. 타이젠 역시 안드로이드에 종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호환 플랫폼을 사용할때 자체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할 뿐더러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그대로 이식하는 수준에 그칩니다. 개발자도 안드로이드 버전으로 개발하면 타이젠 스마트폰 이용자에게도 판매할 수 있는게 굳이 타이젠 전용 앱을 개발할 필요가 없습니다.
삼성이 이같은 우려에도 안드로이드 호환 전략을 채택한 것은 타이젠 폰의 시장 활로 모색을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과거 독자 OS를 채택한 바다 폰도 독자 생태계를 추진했으나 개발자의 외면으로 사실상 실패로 끝난 전례도 있습니다.
이번에 출시하는 타이젠 스마트폰이 이동통신사가 아닌 자급제 위주로 공급된다는 점도 삼성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바다 폰도 주로 유럽의 자급제로 판매되었지만 사용할 앱이 많지 않아 소비자가 구매를 꺼렸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하드웨어가 한계에 다다른 시점에서 소프트웨어 와 컨텐츠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삼성의 전략이 점점 늦춰지면서 나온 과도기적인 기술일 것이라며 OS 주도권을 안드로이드와 일단 공존하면서 다른 형태를 모색하는 전략이 향후 삼성의 스마트폰 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고 말했습니다.
시장조사업체의 한 애널리스트는 타이젠마저 안드로이드에 종속되면 삼성의 구글 리스크는 더욱 커질 수 밖에 없다며 구글이 레퍼런스 폰과 태블릿PC를 삼성이 아닌 LG 등에 맡기는 상황이라 삼성은 구글 전략 변화에 따라 모바일 사업 성패가 좌우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IT 이야기 > 모바일 - Mobi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G3 시네마 클래스를 통해 LG G3(LG-F400S/K/L) 상세 스펙 유출 (0) | 2014.05.22 |
---|---|
HTC One(M8) 프라임 360도 회전 이미지 유출 (0) | 2014.05.21 |
노키아, 노키아 X 후속 노키아 X2 개발중? (0) | 2014.05.21 |
레노버, 요가 태블릿 10 HD+ 출시 (0) | 2014.05.21 |
삼성 갤럭시S5 액티브(SM-G870A) 동영상 유출, 디자인은? (0) | 2014.05.21 |